티스토리 뷰
최근 의대 정원 확대로 인한 의료 공백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비대면 진료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과연 비대면 진료는 의료 공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일까요? 이 글에서는 비대면 진료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비대면 진료란 무엇일까?
비대면 진료는 환자와 의료진이 직접 만나지 않고 영상통화, 전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진료하는 방식입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확대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질병에 대해 적용되고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의 장점
- 편리성: 이동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접근성: 의료 취약층의 의료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효율성: 만성 질환자의 지속적인 관리에 효과적입니다.
비대면 진료의 단점
- 안전성: 오진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 소통 부족: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불평등 심화: 인터넷 접근성이 낮은 사람들은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 종류
- 영상 진료: 의료기관 방문 없이 영상통화를 통해 진료
- 전화 진료: 전화를 통해 진료
- 문자 진료: 문자 메시지를 통해 진료
비대면 진료 가능 질병
- 일반 질환: 감기, 두통, 복통 등
- 만성 질환: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
- 정신건강 질환: 우울증, 불안증 등
비대면 진료 제한 사항
- 응급 상황: 응급 상황에서는 직접 병원 방문 필요
- 정신건강 질환: 일부 정신건강 질환은 직접 방문 진료 필요
- 마약류 처방: 마약류 처방은 직접 방문 진료 필요
비대면 진료 신청 방법
비대면 진료는 크게 영상 진료, 전화 진료, 문자 진료 세 가지 방식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비대면 진료 받기 전 확인 사항
1) 가능한 질병
모든 질병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질병은 직접 방문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가능한 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https://www.hira.or.kr/main.do) 또는 주 이용 의료기관 문의를 통해 비대면 진료 가능 병원 및 약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본인의 건강 상태
비대면 진료 시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4)의료 과실 책임
비대면 진료 시 의료기관의 의료 과실 책임에 대한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 이용 방법
1) 병원 선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또는 주 이용 의료기관 문의를 통해 비대면 진료 가능 병원 선택
2) 진료 신청
- 병원 홈페이지 또는 전화를 통해 비대면 진료 신청
- 신청 시 개인정보 및 건강상태 체크 필요
3) 진료
- 영상통화, 전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진료 진행 및 약 처방 가능 (일부 제한 사항 존재)
- 영상 진료: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 및 카메라 필요
4) 처방전 발급 및 약 복용
- 처방전 발급 후 약국 방문하여 약물 수령
- 일부 약은 택배로 배송 가능
관련 사이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기관업무포털 요양기관 업무포털시스템은 진료비 청구와 관련된 각종 정보 제공과 심사진행과정 및 결과 조회, 의료기준 관리, 이의신청, 정산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바로가
www.hira.or.kr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
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대한의학회 의학 연구의 기반 조성과 학술 활동 장려, 의학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 정책 개발을 통해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합니다.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is
www.kams.or.kr
이 글에서는 비대면 진료의 개념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비대면 진료는 의료 공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정책이지만,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의료 취약층의 접근성을 높이고, 오진 위험을 최소화하며, 의료 상업화를 막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비대면 진료, 논쟁사항과 전문가 의견
바쁜 현대 사회, 병원 가는 시간조차 아껴야 할까요? 편리함과 안전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비대면 진료, 과연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오늘은 비대면 진료의 논쟁 사항을 꼼꼼히 살펴
moneyharbor.grassyear02.com
비상진료에 따른 병의원 이용: 문여는 의료기관과 비대면 진료
비상 시 문여는 의료기관 확인, 비대면 진료, 피해 신고 시스템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의료 서비스 이용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의료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
moneyinfomoa.grassyear02.com
2024년 시간제 보육서비스 총정리
많은 부모들은 급하게 참석해야 하는 회의나 갑작스러운 출장으로 아이를 맡길 곳이 필요하지만, 믿을 만한 돌봄 서비스가 없을 때 무척 난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시간제 보육서비스는 이러한
welfare.grassyear02.com